Domain Name System
네트워크 상에서 각 호스트들은 IP주소를 통해 서로를 구별하고 통신하는데
이 IP 주소는 8bit 숫자 4개로 이루어져 있어 외우기가 힘들다.
예를 들어 주소창에 naver.com 대신 125.209.222.142를 입력해서 접속해야 한다면?
물론 저 번호도 계속 쓰다 보면 외워지겠지만 우리가 접속할 사이트는 네이버 하나가 아니다.
그 많은 번호들을 전부 외울 수가 없기에 더 직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naver.com이라는 도메인 네임을 만든 것이다.
※간단하게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Domain Name System은 이러한 Domain Name을 수직적으로 체계화한 것이다.
초기에는 비 계층적이고 평면적이어서 이름이 서로 다르기만 하면 되었으나,
점차 대형화, 계층 구조화되어 현재의 모습과 같아졌다.
아래 그림처럼.(dot)로 구분되는 다단계 계층 트리구조다.(KRNIC 참조)
kisa.or.kr에 접근하면 Root 도메인에서 .kr을 찾고 .kr 도메인에서 .or.kr을 찾은 뒤 .or.kr에서 kisa.or.kr을 찾는 방식
kisa, or, kr은 각각 라벨이라고도 부르며 각 라벨은 최대 63개의 문자(알파벳, 숫자,'-')를 가질 수 있다.
루트는 길이 0인 Null 문자이며 문자열은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는다.
각 라벨은 dot(.)로 연결되고 최대 길이는 255문자이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라벨을 나열한다.
TLD(최상위 도메인)
gTLD
기관 유형별 분류로 나라에 상관없이 아무 이용자도 등록이 가능한 일반적인 범주의 도메인이다.
- Generic gTLD
. com, org, net, info
- Sponsored gTLD
. aero, asia, cat, coop, edu, gov, int, jobs, mil, mobi, tel, travel, xxx
- Generic-Restricted gTLD
. biz, name, pro
ccTLD
ISO 3166-1에 정해진 국가별 코드를 사용한 TLD를 말하며 각 국가에 귀속되며 2글자 영문 코드이다.
예) .kr(한국) .jp(일본) .us(미국)
우리나라는. kr을 사용하며 하위 도메인으로 co.kr(일반회사), ac.kr(교육기관), re.kr(연구기관), go.kr(정부기관), seoul.kr(지역이름) 등이 있다.
※IDN ccTLD(다국어 국가 최상위 도메인)
위 그림을 보면 영문 코드가 아닌 '.한국'을 볼 수 있는데 이는 internationalized country code TLD로
비 라틴계 character set을 사용하는 도메인이다.
아래에 접속하면 Root 도메인에 등록된 도메인들을 확인할 수 있다.
IANA — Root Zone Database
www.iana.org
※참조
한국 인터넷 정보센터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hosts파일 변경하기 (0) | 2021.02.08 |
---|---|
[컴퓨터 통신]IP 클래스와 CIDR (0) | 2021.01.26 |
[자료구조]QUEUE (0) | 2021.01.22 |
IP Address(IPv4)와 서브넷 마스크 (0) | 2021.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