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ERS

난이도 1 다트게임

by 김ㅋㅋㅋ 2020. 12. 23.

문제

  1.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2.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3.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4.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5. 스타상(*)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6. 스타상(*)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7. 스타상(*)의 효과는 아차상(#)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8. Single(S), Double(D), Triple(T)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9. 스타상(*), 아차상(#)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입력 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출력 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제

예제 dartResult answer 설명
1 1S2D*3T 37 11 * 2 + 22 * 2 + 33
2 1D2S#10S 9 12 + 21 * (-1) + 101
3 1D2S0T 3 12 + 21 + 03
4 1S*2T*3S 23 11 * 2 * 2 + 23 * 2 + 31
5 1D#2S*3S 5 12 * (-1) * 2 + 21 * 2 + 31
6 1T2D3D# -4 13 + 22 + 32 * (-1)
7 1D2S3T* 59 12 + 21 * 2 + 33 * 2

풀이

function solution(dartResult) {
    var splitArray = dartResult.split(/([0-9]{1,2}[SDT]{1}[?\#?\*?'']{0,1})/).filter(x=>{return x!=''});
    var temp = [];
    
    splitArray.forEach((e,idx)=>{
        temp[idx] = e.replace(/\*|S/gi,"").replace(/D/gi, "**2").replace(/T/gi, "**3").replace(/#/gi, "*(-1)");
        if(e.endsWith('*')){
            temp[idx] += '*2';
            if(idx-1 >= 0){
                temp[idx-1] += '*2';
            }
        }
    });
    return eval(temp.join('+'));
}

PROGRMMERS 난이도 1단계 문제를 정규식 연습 겸 풀어봤다.
1. 입력받은 세트 문자열을 split 함수와 정규식을 통해 세트별로 나눈다.

   아직 정규식 사용이 미숙해서 빈 문자열('')이 들어갔기 때문에 filter를 통해 제거해줬다. 추후 수정 필요

 

2. 세트별로 forEach를 통해 temp(Array)에 치환해서 담아준다.

  •  이 때 첫 replace는 '*'와 'S' 를 제거하여 넣어주는데
     '*'는 아래에서 따로 *2로 변경하여 넣어주고 'S'는 1제곱이기 때문에 의미가 없어서 제거해줬다.
  •  'D'는 2제곱이기 때문에 '**2'로 치환해준다.
  •  'S'는 3제곱이기 때문에 '**3'으로 치환해준다.
  •  '#'은 -1을 곱해줘야 하기때문에 '*(-1)'로 치환해준다.

3. '*' 문자가 있으면 temp[idx]에 '*2'를 붙여주고 idx-1이 음수가 아니면 추가로 temp[idx-1]에도 '*2'를 붙여준다.

 

4. 이렇게 치환해서 넣어준 temp 배열을 join('+') 함수를 통해 문자열로 만들어준다.

   예) 입력값 : '1D2S#10S'  - 출력문자열 : '1**2+2*(-1)+10'

   ※ 연산자 우선순위에 의해 알아서 계산되도록 치환해줬기 때문에 그대로 계산하면 결과가 나온다.

      연산자 우선순위 : **(거듭제곱) > *(곱하기) > +(더하기)

  

5. 숫자와 수식으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을 eval함수를 통해 계산하여 return해준다.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렬 테두리 회전하기  (0) 2021.04.30
큰 수 만들기  (0) 2021.04.23
프린터  (0) 2021.04.09
등굣길  (0) 2021.03.30
3진법 뒤집기  (0) 2021.03.22

댓글